본문 바로가기

정보

내가 경계선지능일까? 테스트 방법과 자가진단 가이드

반응형

최근 들어 ‘경계선지능(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이라는 개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경계선지능이란 평균 지능(IQ 85~115)보다 낮지만 지적장애(IQ 70 이하)로 분류되지는 않는 IQ 70~85 범위의 지능을 의미합니다. 사회생활과 학습 능력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지만, 정식 장애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혹시 자신이 경계선지능일지 궁금하다면, 아래의 테스트 방법과 자가진단 가이드를 참고해 보세요.

1. 경계선지능이란?
경계선지능은 일반적으로 IQ 70~85 사이에 속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습니다.

- 학습 속도가 또래보다 느리다.
-  논리적 사고나 문제 해결 능력이 부족할 수 있다.
-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거나 조직적인 사고를 하기 어렵다.
-  사회적 관계에서 오해를 받거나 의사소통이 서툴다.
-  일상생활에서 단순한 실수를 반복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학교생활이나 직장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지만, 공식적인 지적장애로 인정되지 않아 적절한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내가 경계선지능일까? 테스트 방법
경계선지능을 확인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은 전문가의 지능검사를 받는 것입니다. 하지만 간단한 자가진단을 통해 스스로 경계선지능의 가능성을 점검해볼 수도 있습니다.

① 지능검사 (IQ 테스트)
경계선지능을 판단하는 핵심 기준은 IQ 점수입니다. 대표적인 공식 검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웩슬러 지능검사(WAIS, WISC)
-  K-WISC (한국 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
-  K-WAIS (한국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온라인에서 무료로 제공되는 IQ 테스트도 있지만, 공식적인 진단을 원한다면 심리상담 센터나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전문가에게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② 경계선지능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아래 항목 중 다수에 해당된다면 경계선지능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  학교에서 학습 속도가 느리고, 남들보다 이해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
-  새로운 개념을 배울 때 반복적으로 설명을 들어야 한다.
-  숫자 계산, 시간 개념, 돈 관리 등에 어려움을 느낀다.
-  논리적인 사고나 복잡한 문제 해결이 어렵다.
-  감정 조절이 어려워 자주 감정적으로 반응한다.
-  계획을 세우거나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부담스럽다.
-  사회적인 관계에서 자주 오해를 받거나 어색한 순간이 많다.
-  일상적인 업무나 작업에서 실수를 자주 한다.
-  지시사항을 이해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  시험에서 문제가 어떻게 출제되는지 이해하는 것이 어렵다.


위 항목 중 5개 이상에 해당된다면 전문가 상담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3. 경계선지능일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

① 전문가 상담 및 정식 진단 받기
정확한 지능평가를 위해 정신건강의학과나 심리상담센터에서 공식적인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② 학습 및 생활 지원 프로그램 활용하기
경계선지능을 가진 경우, 개인 맞춤형 교육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특수교육 지원센터나 발달장애 관련 기관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③ 감정 조절 및 사회성 훈련
사회적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 감정 조절 훈련이나 사회성 훈련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대인관계에서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습니다.

④ 자신에게 맞는 직업 찾기
경계선지능을 가진 사람들은 논리적이고 복잡한 업무보다는 실용적인 기술을 배우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실습 중심의 직업교육을 받거나 손으로 직접 하는 일(예: 요리, 미용, 수공예 등)에 집중하는 것이 좋습니다.

 

 


4. 결론
경계선지능은 공식적인 장애로 인정되지 않지만, 실질적인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스로가 경계선지능인지 궁금하다면, 자가진단을 통해 가능성을 점검해 보고, 전문가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절한 지원과 환경이 갖춰진다면, 경계선지능을 가진 사람들도 충분히 자신에게 맞는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강점을 찾고, 그것을 키워 나가는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