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예식장에서 축의금 잘 받는 방법

반응형

출처

 

[생활노하우] 예식장에서 축의금 잘 받는 법 - 많이 받는 법 아닙니다. : 클리앙

요즘 한창 결혼식이 줄줄이 있지요. 와중에 축의금 수납이라는 막중한 임무를 맞게 될 회원 분들을 위해 노하우를 공유해 드립니다. 일단 최소 2인 1조는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너무 많을 필요

www.clien.net

 

요즘 한창 결혼식이 줄줄이 있지요.

와중에 축의금 수납이라는 막중한 임무를 맞게 될 회원 분들을 위해 노하우를 공유해 드립니다.

 

일단 최소 2인 1조는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너무 많을 필요도 없고 최대 4인이면 됩니다.

 

업무분담은

 

1. 봉투수령, 한문이름확인, 금액확인, 봉투에 일련번호 기재

2. 방명록 기록 및 합계

3. 지폐 및 수표 액면에 따라 분류 및 일정매수로 묶기(보통 100장)

4. 식권배부

 

축의금을 여자가 받는 것은 아마 거의 눈 씻고 봐도 보기 힘드셨을 겁니다.

그 이유는 신부 측 측근인 경우에는 이래저래 사소한 신부 뒤치다꺼리를

여자분 들이 해주셔야하고, 유부녀인 경우에는 애를 봐야하고,

신랑 측 측근인 경우에도 신랑어머니를 도와드린다던지,

신랑의 신혼여행 짐 등을 챙기는 것을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자 이제 업무별로 적합한 대상자의 요건을 설명하고,

노하우를 공개하겠습니다.

 

1번 - 축의금 수납의 핵심, 대부분의 경우에는 축의금 수납을 총괄하지만,

      가장 바쁘므로 짬밥에 밀려서 하기도 함

      혼주 측 최측근 인사, 혼주의 친척이나 지인들과 안면이 있고,

      이름도 웬만큼 아는 사람, 혼주의 형제나 사촌형제, 한문을 잘 알면 좋음

# 이 사람은 일단 손이 빠르고, 명필은 아니어도 2 or 3, 7 or 9 등 헥갈리기 쉬운 숫자의

필체가 확실하게 구분이 되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물론 이름에 쓰이는 한글도 또박또박 쓰는 사람이어야 하겠죠.

일은

1) 하객의 확인

2) 봉투의 이름 확인, 모르거나 읽기 어려운 한자는 이름을 여쭤봄(생략해도 됩니다.나중에 번호로 확인)

3) 봉투에 일련번호 작성

4) 축의금을 꺼내 액수 확인하고 서랍에 넣은 뒤 봉투에 씀

5) 2번에게 축의금 봉투 인계

 

2번 - 축의금 정산을 빨리 끝낼 수 있게 해주는 축의금 수납의 허리

      특별이 적합한 사람은 없으나, 덧셈에 능하고, 글씨를 또박또박 잘 쓰는 사람,

      마찬가지로 한문을 잘 알면 좋음. 능력 좋은 1번이 있는 경우 뒤로 물러앉은 고수

# 일의 순서는

1) 1번에게 봉투 인수

2) 방명록에 기재

3) 방명록 1페이지 당 미리 합계를 냄

(중간 합계가 중요한 이유는 예식장 꽃값 같은 장식비나 수고비를 예식 직전에 현금으로

 지급하는 곳도 있고, 혼주가 각종 수고비나 다른 비용으로 현금을 쓸일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중간 인출이 있을 때 비용집계도 2번이 해야합니다.)

 

3번 - 보조 역할입니다.

      2명 밖에 축의금 받을 사람이 없으면, 1번이 겸임합니다.

      단, 3번이 있으면 축의금을 받는 도중에 수납액을 미리 세서,

      정리해 놓을 수 있기 때문에 일이 금방 끝납니다.

      아니면 축의금 들어오는 것이 끊기고 나서 세야지요.

# 노하우 3번이 없다면 1번은

   (축의금을 서랍에 넣으면서, 액면별로 분류하고

    지폐를 10장 단위로 구분해 놓으면 나중에 돈을 셀 때 오류도 없고,

    실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구분하는 방법은 지폐 한 장을 반으로 접어서 9장을 감싸서 놓으면 됩니다.)

# 3번의 역할은 1번이 분류하지 않은 지폐를 분류하고 100장 단위로 묶어서,

  세기 편하게 해놓는 겁니다.

  고무줄을 사용해도 좋고, 고무줄이 없다면, 예식장에서 제공해주는 축의금 봉투를

  이용하면 됩니다.

 

4번 - 식권배급, 솔직히 4번은 1~3번이 화장실 갈 때 잠시 교체해주거나,

      축의금 봉투가 모자라면 보충하고, 1~3번이 일에 집중할 수 있게,

      피로연장 위치안내와 주차도장 찍는 곳 등을 알려주는 역할입니다.

 

이제 축의금 수납이 끝나면, 현찰 총액을 세서, 방명록과 확인하고,

오차가 생기면 봉투와 대조해서, 검산을 마치고, 축의금을 혼주에게 인계하면 됩니다.

 



이상 여러 번 축의금을 걷으면서 축적 된 노하우 공개를 마칩니다.

반응형